온라인(접속방법은 신청자에 별도 공지)
무료
출석시 수료증 발급
자원개발 산학 협력 컨소시엄 중 디지털오일필드 분야를 담당하는 인하대 컨소시엄에서
국내외 CCS 분야 유명 전문가분들을 모시고 CCS 산업의 동향과 주요 기술에 대해 교육을 개최합니다.
탄소저감의 핵심인 CCS 산업의 최신 동향을 대학원 과정생 수준의 심화과정으로 이틀간 집중 운영하오니
관심있는 학생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대학원생(학부생 및 회원사 재직자 청강 가능)
문의처 : 02-3453-3678
시 간 |
교육 과목 |
교육 내용 |
강 사 |
■ 1일차 (7.30, 화) |
|||
09:00~12:00 |
CCS 관련 SLB S/W 및 연구주제 소개 |
ㅇ CCS site screening & evaluation ㅇ CCS risk identification & MMV planning |
정대인 박사 (한국 SLB) |
13:00~16:00 |
이산화탄소 포집, 수송, 저장 : 탈탄소화를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이송의 역할 |
ㅇ 탈탄소화를 위한 CCS의 역할과 유럽 동향 ㅇ CO2 포집 기술 개괄 ㅇ CO2 정제와 액화 기술 : CCS 가치사슬의 필수 요소 ㅇ CO2 운송과 가치사슬 분석을 통한 CCS 경제성 평가 |
김동회 박사 (노르웨이 SINTEF Energy Research) |
■ 2일차 (7/31, 수) |
|||
09:00~12:00 |
Reservoir Geomechanical Issues in Carbon Geological Storage |
ㅇ Basic concept of poroelasticity ㅇ Integrity of geological storage ㅇ Subsurface deformation modeling with InSAR data |
이헌주 교수 (미국 Oklahoma State University) |
13:00~16:00 |
이산화탄소 주입과 석유산업 연계기술 : 이산화탄소 주입 및 석유산업에서의 Subsea 기술 |
ㅇ Subsea system, subsea processing 기술 개요 및 최신 기술 동향 ㅇ Subsea CCS system 설계 고려사항 및 flow assurance : 노르웨이 northern Light project 사례 중심 |
문석기 연구원 (노르웨이 OneSubsea) |